LH매입임대 관련 합니다. 만 34세여성이고, 만7세 아동을 키우고 있는 법정 한부모 +주거급여+교육급여 수급자입니다
만 34세여성이고, 만7세 아동을 키우고 있는 법정 한부모 +주거급여+교육급여 수급자입니다 현재 2년 이상 4대보험들어가는 직장에근무중이고 ,세전 170~180, 신용점수 750점 정도입니다.현재 2021년부터 lh신혼부부전세임대로 들어와 전세 9000빌라에 거주중이고 LH에 보증금 375만원 -월세 10만원을내고있어요 주거급여수급자여서 월세는 지원받고있구요거주하는 곳이 재개발 구역이라 언제 나갈지 모르는 상황입니다.그래서 매입임대를 노리고 있습니다..인천도시공사나 LH매입임대를 보면 보증금이 2천중후반 -월세 25 이던데 수중엔 현금 천만원 밖에 없습니다. lh보증금도 대출이 될지 궁금합니다!보증금을 대출받고 이자를 내는게 나을지아니면 보증금을 최저로 잡고 월세를 더 내는게 나을지 모르겠습니다 ㅜㅜㅜ
상황 잘 설명해주셔서 감사해요. 정말 현실적인 고민이고, 현재 조건이라면 LH 매입임대 전환은 아주 좋은 방향입니다. 아래에 하나씩 정리해드릴게요.
현재 상황 요약
한부모 + 주거급여 + 교육급여 수급자 → 매입임대 입주자격 충족 가능성 높음
소득 월 170~180만 원 (세전), 신용점수 750점대 → 소액 보증금 대출 가능성 있음
현금 1,000만 원 보유
LH 매입임대 보증금 2,0002,800만 원, 월세 2030만 원 수준
✅ 1. LH 보증금 대출 가능성
네, 보증금 대출 가능합니다! 다음 두 가지 방법이 있어요.
(1) 주거복지형 버팀목전세자금대출
저소득 무주택 세대주 대상
한부모가족, 수급자는 우선 지원 가능
대출금리는 1.2~2.1% 수준 (이자 부담 낮음)
LH 매입임대도 가능
(2) LH 자체 보증금 지원 제도
일부 매입임대 주택은 입주 시 보증금 일부를 추가 대출로 분납 가능하게 해주는 경우도 있어요.
해당 주택이 이에 해당하는지 꼭 LH에 문의하거나 공고문 확인해보세요.
예상 시뮬레이션
보증금 2,800만 원 중 본인 1,000만 원 → 대출 1,800만 원
이자 1.5%라면 연간 이자 약 27,000원, 월 2,250원 수준
→ 굉장히 부담이 적습니다.
✅ 2. 보증금 대출 vs 월세 더 내기, 어떤 게 나을까?
항목 | 보증금 높이고 대출 | 보증금 낮추고 월세 |
초기 자금 | 부담 큼 (대출 필요) | 부담 적음 |
월 부담 | 이자만 부담 (몇 천 원) | 월세 25만 원 이상 부담 |
주거급여 영향 | 보증금 반영 ↓ | 월세 반영 ↑ (지원금 늘어날 수도 있음) |
장기적 비용 | 유리 (이자율 낮음) | 불리 (월세는 계속 나감) |
결론:
보증금 대출을 받고 월세를 낮추는 방식이 장기적으로 훨씬 유리합니다.
특히 지금처럼 이자율이 낮고, 주거급여 대상자라면 더더욱 그래요.
매달 월세를 20만 원씩 더 내는 건 1년에 240만 원이에요. 이자 2만 원 내고 240만 원 아끼는 셈이죠.
✅ 추가 팁
매입임대 입주 신청 시 “보증금 일부 대출 또는 분납 원함”이라고 명시해도 됩니다.
**보증금 대출 전용 은행 (예: 우리, 농협, 국민은행 등)**에 미리 문의하셔도 돼요. “LH 매입임대 보증금 대출 가능하냐”고요.
LH나 인천도시공사 입주자격 문의 시, 현재 상황 (한부모, 수급자, 소득 등)을 그대로 말씀하시면 우선순위나 가점 확인 가능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