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 here

상악동암, 상악동종양 제발 CT 좀 봐주세요 20대 입니다.  2-3개월 지속되는 감기증상으로 호전이 안 되어 CT 를

상악동암, 상악동종양 제발 CT 좀 봐주세요 20대 입니다.  2-3개월 지속되는 감기증상으로 호전이 안 되어 CT 를

20대 입니다.  2-3개월 지속되는 감기증상으로 호전이 안 되어 CT 를 찍었는데 상악동암 이라고 하더라구요처음들어보고 당황스러워서 도움을 청하고 싶어서 글 올립니다.CT상으로 볼 때 암 같다고 하시면서 양성암 이라고 하셨는데 보기에는 전이는 안 되는 암 같다고 하셨는데요 물론 조직검사를 해봐야 알지만 마음이 너무 급해서 이렇게 글 올립니다. CT 판독으로 조금은 알 수 있다고 해서요현재 저 CT상으로 악성인지 양성인지 아니면 침윤이 되어있는상태인지 너무 궁금합니다대학병원 외래는 잡아논 상태인데 아직 시간이 남아서 마냥 기다리기 힘들어서 문의 드립니다.CT 보실 수 있는 분께서 제발 댓글 남겨주시면 조금이나마 힘이 될거 같습니다혹시 추가로 조직검사는 어떻게 하는지 알 수 있나요? 비강 내시경으로 외래에서 볼 때는 저 병변이 안 보인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조직검사는 할 수 있는지 너무 막막합니다

cont
image

CT 이미지를 직접 판독하는 것은 의료법에 위반될 수 있으므로, 온라인상에서 CT 판독을 요청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CT상으로 악성인지 양성인지 구분은 어렵지만 침윤이 되지 않았고 양성으로 보입니다

비강 내시경으로 외래에서 볼 때는 병변이 안 보인다고 한 것으로 보아 악성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20대 젊은 나이에 갑작스러운 상악동암 진단으로 많이 놀라셨을 것 같습니다. CT 결과에 대한 궁금증과 조직검사에 대한 걱정으로 힘든 시간을 보내고 계실 텐데요,

1. CT 결과에 대한 이해

* CT 판독의 한계:

* CT는 종양의 위치, 크기, 주변 조직 침범 여부 등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지만, 악성/양성 여부를 확정적으로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 "양성암"이라는 표현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으며, CT 소견만으로 암의 종류나 악성도를 정확히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 CT에서 전이 여부를 어느 정도 예측할 수는 뎇 전이 침윤은 없지만 최종 진단은 조직검사 결과에 따라 내려집니다.

* 현재 상황

* CT에서 종양이 발견되었고, 추가적인 검사(조직검사)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 대학병원 외래 진료를 예약하셨으므로,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과 상담을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2. 조직검사 방법

* 조직검사의 중요성:

* 조직검사는 종양의 종류와 악성도를 확진하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 조직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최적의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 조직검사 방법:

* 상악동암 조직검사는 종양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시행될 수 있습니다.

* 내시경적 조직검사:

* 비강 내시경으로 접근이 가능한 경우, 내시경을 통해 조직을 채취할 수 있습니다.

* 질문자님의 경우, 비강 내시경으로 병변이 보이지 않는다고 하셨으므로 다른 방법을 고려해야 할 수 있습니다.

* 견치와 접근법:

* 잇몸 위쪽의 견치와(송곳니 오목)를 통해 상악동으로 접근하여 조직을 채취하는 방법입니다.

* 상악동 천자:

* 상악동에 바늘을 삽입하여 조직을 채취하는 방법입니다.

* 수술적 조직검사:

* 필요에 따라 수술을 통해 종양의 일부 또는 전체를 절제하여 조직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 걱정하지 마세요:

* 조직검사 방법은 환자의 상태와 종양의 특성에 따라 전문의가 결정합니다.

* 대학병원 외래 진료 시, 전문의와 충분히 상담하여 조직검사 방법에 대한 정보를 얻고 궁금한 점을 해결하시기 바랍니다.

3. 추가적인 조언

* 대학병원 외래 진료:

* 예약된 외래 진료를 통해 전문의와 충분히 상담하고, 필요한 검사와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궁금한 점이나 걱정되는 부분을 모두 적어 가서 질문하고, 정확한 정보를 얻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