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ems 세금 관세 일본 여행비자로 있는데 ems를 받으려고 합니다선물로 체크하고 10만원이 안넘으면 뭐

일본 ems 세금 관세 일본 여행비자로 있는데 ems를 받으려고 합니다선물로 체크하고 10만원이 안넘으면 뭐

일본 여행비자로 있는데 ems를 받으려고 합니다선물로 체크하고 10만원이 안넘으면 뭐 따로 세금이나 그런 거 없는거죠?근데 선물 체크하고 12만원정도 나왔습니다(배송비 6만원정도 따로) 이럴경우 어떡하나요? 따로 세금관세 뭐 이런게 있을까요?ㅠ그리고 박스에 별송품이라 안적었는데 이건 상관없을까요?
cont
일본 ems 세금 관세 일본 여행비자로 있는데 ems를 받으려고 합니다선물로 체크하고 10만원이 안넘으면 뭐의 이미지

일본에서 EMS로 선물을 받을 때, 면세 기준과 세금 발생 여부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일본의 면세 기준 (Gift – 선물인 경우)

  • 일본으로 보내는 선물(개인 간 송달)의 면세 한도1만엔(약 12~13만 원) 이하입니다.

  • 1만엔을 초과하면 관세 및 소비세(부가세)가 부과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단, 배송비는 과세 대상이 아니며, 상품 금액 기준으로 면세 여부가 결정됩니다.

2. 12만원(상품가) + 6만원(배송비)일 경우

  • 일본 세관에서는 상품 가격(물품 가액)만 기준으로 하므로 12만원이 1만엔을 넘지 않는다면 세금이 부과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하지만, 환율(세관 적용 환율)에 따라 1만엔을 초과한다고 판단되면 과세 대상이 될 수도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세관 적용 환율이 100엔당 900원이라면 1만엔 = 9만원이므로 과세 대상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3. 세금 부과 시 발생 비용

  • 상품 가격이 1만엔을 초과하면 관세와 소비세(부가세)가 부과될 수 있음

  • 일반적으로 관세 + 소비세(약 10%) 정도가 추가될 가능성 있음

  • 통관 수수료(약 200~300엔)가 추가될 수 있음

4. "별송품(別送品)" 표기 여부

  • 일본에서는 해외에서 개인이 입국할 때 함께 반입하지 않은 물품을 별도로 송달할 경우, "별송품"이라고 표시해야 면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그러나 일반적인 선물(EMS)이라면 별송품 표기가 필수는 아닙니다.

  • 즉, 일본 입국 시 세관에서 신고한 물품이 아니라 단순한 선물이라면 큰 문제는 되지 않습니다.

5. 해결책 및 추천

  • 세금을 피하고 싶다면: 세관 적용 환율에 따라 1만엔 이하가 되도록 금액을 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이미 배송된 경우: 만약 과세 대상이 된다면, 일본 우체국(세관)에서 세금 납부 요청을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이 경우 우편으로 납부하거나, 택배 기사에게 직접 납부하는 방식으로 처리됩니다.

  • EMS 세관 확인: 일본 우체국(일본우편, Japan Post) 웹사이트에서 EMS 송장번호를 조회하면 통관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론:

  • 12만원이 일본 세관 적용 환율로 1만엔을 초과하면 세금이 부과될 가능성이 있음.

  • 세금이 부과되면 관세 + 소비세(약 10%) + 통관 수수료가 추가될 수 있음.

  • "별송품" 표기가 없어도 큰 문제는 없음 (단순 선물일 경우).

  • EMS 배송 상황은 일본 우체국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